구글검색 결과를 내 마음대로 다루기
나에게 딱맞는 블로그 찾기편
대용량 이미지 올리기 편
컴퓨터를 사면 가장먼저 체크해야할 것들 편 크롬의 사용법과 기능편
동영상 파일에 대한 이해와 플레이어 고르기편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또 다시 구글팁으로 돌아왔네요;;
지난 번에 구글을 꾸미는 팁에 이어 구글 크롬까지..
진짜 구글회사에서 저는 쫌 작은 선물이라도 받아야합니다.
... 아무튼 오늘은 구글의 대표적인 기능인 검색기능에 대해서 알아보려고합니다.
사실 구글은 검색빼면 시체인데 여태까지 다른 기능만 소개하고
정작 검색에 대한 팁을 알려드리지 못했네요. 순서가 어째 뒤죽박죽이 된 감이 없진 않지만.
그런만큼 더욱 성심성의껏 준비했으니 아무쪼록 많은 분들이 보고 유용하게 이용했으면 좋겠습니다.
검색엔진 중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네이버나 다음, 파란, 네이트 이 정도가 많이 알려져있죠.
각자 선호하는 검색엔진사이트가 따로 있겠지만 대체적으로는 네이버와 다음이 국내에서는 가장 투탑이라고 할 수 있죠.
물론 어느것이 가장 좋다 나쁘다를 따지는 것은 개인의 기호의 차이이기 때문에
이곳에서 그것을 따지는 것은 낭비라고 생각되어서 쿨하게 넘어가겠습니다.
다만 여러분들이 네이버와 다음을 자주 이용하시는 이유를 들자면
잘 정리되어서 나오기 때문이라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검색결과로 나온 페이지를 본면 전부 검색한 사이트에서 시작해 그 사이트로 끝나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까?
예를 들자면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면
웹문서 이외에는 이미지나 동영상 블로그 음악 뉴스 카페 지식인 사전 지도 책 등등..
모든 컨텐츠들이 모두 네이버에서 이뤄지고 표시해주고있는 내용들 입니다.
물론 그 컨텐츠들의 질이 나쁘다는 것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결국 네이버 검색은 '웹 검색'이 아닌
'네이버 안에서의 검색'이 되어버렸다는 점입니다.
국내 1위 포털인 만큼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며 많은 데이터베이스를 쌓아놓았다 하더라도
정보의 바다라 불리우는 인터넷내에서 네이버 안에서의 결과들은 정말 3~4%에 불과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대중적인 정보야 네이버를 통해 말그대로 '잘 정리되어져서'나온다 하더라도
조금 매니악(?)한 정보를 찾으려한다면 결과도 부족할 뿐더러 찾더라도 신빙성이 느껴지지 않는 아무개가 쓴 출처없는 글 몇 줄이 전부입니다.
게다가 돈을 주면 검색결과가 상위로 위치하게하는 상업적 정책탓에 우리가 찾는 결과와는 더 멀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지요.
이러한 한계점을 깨달은 몇몇 분들이 레포트나 논문 혹은 전문적인 글을 쓰실 때 구글을 이용하시는 것을 심심치않게 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막상 주위에서 구글이 좋다 구글쓰면 다나온다 오죽하면 구글링 구글링하겠냐하면서 구글을 써봤지만
생각처럼 검색결과가 썩 만족스럽지는 않습니다.
특히나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검색엔진에 익숙하신 분들은 약간 당혹스러울 만도 합니다.
검색결과가 너무 방대하고 어쩌면 뒤죽박죽이라고 느껴질지도 모르니까요.
국내 검색엔진과 차이점이 있다면 구글은 웹문서 위주입니다. 다른 내부 정보를 먼저보여주고 맨밑에 웹문서 정보가 있던 국내엔진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죠.
구글이 무서운 점이 바로 봇(Bot)인데(발음 조심하세요;;)
이 봇이 웹사이트를 긁어가서 구글에서 검색결과로 나오게되는데 정말 이놈은 안다니는 곳이 없습니다.
(2010 세계 검색엔진 순위 1위가 구글 2위가 야후 3위가 MSN)
이것이 아마 구글을 세계 1위 검색엔진으로 군림하게 만든 원동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아무튼 이래저래 찬양식으로 늘어놓기는 했지만 기존 국내 유저가 보기에는 많이 어려워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런 난잡하게 나열된 구글의 검색결과를 내가 보고 싶은 곳, 보고 싶은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검색 팁이 오늘의 주된 내용입니다.
이래저래 잡소리가 많아졌지만 사실 위에 내용 다 제껴두고 여기서부터 읽으셔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
● 검색식(명령어)을 이용하자!
검색어에 특수문자를 넣어서 해당 검색어에 대해 필요한 부분 필요없는 부분을 표시할 수 있고 따로 검색영역까지 지정할 수 있는 등
여러 편의사항이 많습니다만 많은 사람들이 이걸 알지 못하고있더라구요. 물론 고급검색으로도 충분히 할 수 있는 내용이기는하지만
따로 클릭으로 시간을 낭비하기보다는 빠르게 구글 페이지에서 검색식을 이용하면 더 익숙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처음이 어렵지 자주 이용하다보면 이게 더 편하게 느껴질 수 있을 겁니다.
일단 백문이 불여일견. 한번 보시죠.
1. 사이트내의 검색
제가 제일 많이 이용하고있는 명령어입니다.
이걸 잘만 이용하면 못 다운받고 못 찾는 글은 없죠.
검색어 뒤에 site:해당 사이트를 적으면 그 사이트 내에 글을 찾을 수가 있습니다.
예)은유의 유용한 팁 site:todayhumor.co.kr
site:dcinside.com 은유
거울아 거울아 site:twitter.com
k-pop site:youtube.com
2.문장 전체 검색
구글 뿐만이 아니라 다수의 검색엔진에서 한 문장을 검색할 경우
가령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거 아시죠?'
라는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거' '아시죠?' 이렇게 다섯 단어를 포함하는 결과를 찾습니다.
이렇게 단어가 아닌 특정 문장을 검색할 경우에는 큰 따옴표 ""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운영자 바보"
3.단어 검색
여러개의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에 구글은 자동적으로 모든 검색어를 포함해서 결과를 표시합니다.
하지만 흔하게 쓰이는 단어나 영어의 전치사에 해당하는 경우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해서
버려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정 단어가 필요하다, 또는 단어를 통해 검색을 이용하시려면 +를 단어 앞에 추가해주시면됩니다.
예)+오유 +플갤 +은유 =오유와 플갤 은유를 포함한 검색결과를 표시합니다.
+은유 =은유가 포함한 결과를 표시합니다.
반면 특정 단어를 빼려고한다면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오유 +플갤 +은유 -게이 =오유와 플갤 은유가 포함된 검색결과중에 게이가 포함된 문서를 제외합니다.
4.링크 페이지 검색
입력된 주소를 링크한 페이지들을 보여줍니다. link:주소
예)link:naver.com
5.유사한 페이지 검색
검색어에 related:주소를 넣으면 그 사이트와 비슷한 페이지를 검색합니다.(별로 쓰일 일은 없는듯..)
예)related:chaljiguna.com
6.문서 검색
파일 확장자를 이용해 특정 문서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filetype:파일확장자의 형태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예)찰지구나 filetype:doc =워드문서 검색
찰지구나 filetype:pdf = 아크로뱃 문서 검색
찰지구나 filetype:ppt = 파워포인트 문서 검색
찰지구나 filetype:xls = 액셀 문서 검색
7.디렉토리안 파일 검색
디렉토리안에 있는 파일들을 열거하여 다양한 확장자의 파일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MPEG, TEXT, JPG, MP3 등..다방면에서 이용가능합니다.
예)intitle:index.of? 확장자 검색어
intitle:index.of? iso 블랙옵스
intitle:index.of? mp3 나는가수다
8.기타
allintitle:단어 = 페이지 제목에 포함된 단어를 검색
allintext:단어 = 페이지 본문에 포함된 단어를 검색
allinurl:단어 = url 링크 문장에 포함된 단어 검색
allinanchor:단어 = a href같은 앵커태그 주소에 포함된 단어를 검색
● 고급 검색을 활용하자!
이런식으로 일일이 생각해내서 검색어에 쳐넣기 불편하고 내 뇌에는 이런걸 기억할만한 용량이 없다는 분들에게는
이 고급 검색을 추천합니다. 간단히 이 고급 검색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위에 나오는 검색식들을 유저 인터페이스(UI)식으로 표현한 거라고 보시면됩니다.
위 페이지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구요.
이건 굳이 설명이 필요없이도 아무리 컴맹이라도 한번 페이지에 들어가셔서 둘러본다면 충분히 이해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굳이 부가설명을 하자면
고급 검색은 검색식과 다르게 원하는 언어와 특정 지역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지역을 일본으로 언어를 한국어로 해놓으면 일본에있는 한국어 페이지가 검색되는거죠.
게다가 날짜와 페이지 영역을 선택할 수 있고 추가로 라이센스 제한된 페이지는 필터로 걸러주기도 합니다.
(검색결과로 얻은 정보를 상업적으로나 따로 재가공이 필요할때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safe search는 유튜브의 안전모드와 비슷한걸로 대강 유해페이지는 걸러주는 기능이라고 보시면됩니다.(악성코드나 성인사이트 등)
http://www.google.com/advanced_image_search?hl=ko
이미지역시 고급검색이 가능합니다. 크기별 화소별 다양한 검색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얼굴인식이나 기타 필터링을 제공해서 흑백/컬러별로 사진을 얼굴별 사진별 클립아트(꾸미기용 그림)별 라인아트(만화, 펜그림)별로 원하는 사진만 검색할 수 있습니다.
● 검색도구를 이용하자!
고급 검색 외에도 구글에서는 따로 검색도구를 제공합니다.
빨갛게 표시된 저것이 바로 그것인데 검색결과페이지 왼쪽 탭 가장 밑에 위치해있습니다.
우선 검색 도구를 열기전에 왼쪽 탭들을 간략하게 살펴보자면
일단 탭을 통해 이미지, 동영상, 뉴스, 쇼핑, 블로그, 실시간(소셜네트워크 검색 트위터나 미투데이, 페이스북 등),게시판으로 분류를 통해 1차적인 필터링을 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을 검색하고자한다면 길이를 통해 찾을 수 있고 한국어 웹과 번역된 외국어 웹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따로 선택안할 시에는 일반적으로는 둘다 표시됩니다.) 날짜별로도 결과를 표시할 수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구를 열면 사진처럼 펼쳐지면서 다른 메뉴들이 요로코롬 튀어나옵니다.
이미지가 포함된 웹을 클릭하면 예상했듯이 검색된 결과중에서 이미지가 포함된 웹들만 선별해 표시합니다.
방문한 페이지와 방문하지 않은 페이지는 인터넷을 하다보면 우리가 본 웹페이지들은 다시 들어갔을 때 빠르게 로딩할 수 있도록 임시폴더에 저장해둡니다.
이런걸 쿠키라고하구요. 이것을 통해 이 사이트에 내가 들어갔었는지 안들어갔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죠.
구글에서는 자신이 들어갔던 페이지와 안들어갔던 페이지를 구별해 표시할 수 있습니다.
물론 최근에 인터넷 임시 파일, 히스토리, 쿠키 등을 정리하셨다면 이 필터링은 거의 무용지물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사전은 알다시피 그냥 사전검색(위키나 기타 사전)된 내용 표시해줍니다.
뭐 이런 것들은 대충 보기만해도 알겠지만
나머지 원더휠과 타임라인은 대체 무엇일까?
어렵게 표시되었지만 원더휠은 기존 우리가 알고있던 연관검색어와 별반 다를 바 없습니다.
위의 사진처럼 마인드맵식으로 연관검색어를 표시해줍니다. 검색결과도 따로 오른쪽에 표시됩니다.
타임라인 도구는 역사적 사건이나 유명인의 일대기를 연대순으로 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막대그래프도 잘 보시면 파란색 수치가 높은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그때 검색어에서 입력한 내용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검색내용에 년도와 검색어를 캐치해서 정렬하는 도구로서 위에서 알려드린 검색식과 함께 뉴스만 검색한다든지 특정 사이트만 검색한다든지해서
응용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은 이미지 검색도구 입니다.
이미지탭을 클릭하면 위에 사진처럼 이미지 도구창이 왼쪽에 짠하고 나타납니다.
위에서 본 이미지 고급검색처럼 사이즈별 유형별로 필터링을 할 수가 있는데
여기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컬러별로 검색이 가능하다는 겁니다.
이런식으로 검색된 결과중에 원하는 색상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저는 엉덩국 검색어중에 핑크색 결과만 보기로 설정했는데..
아 안되...여길 나가야겠어!
그 외에도 얼굴, 사진, 클립아트(꾸미기용 사진),라인아트(만화, 펜선)별로, 칼라, 흑백별로도 정리할 수 있으니 한번 꼭 이용해보세요.
제일 밑에 크기표시를 누르면 검색결과로 표시된 내용들의 사진크기도 보여지니 검색할때 이 기능을 켜놓으면 좀더 유용하겠습니다.
이상 구글검색하는 팁이였구요. 앞으로는 구글검색이 어렵다 복잡하다는 이유를 들어 꺼리는 일들이 이 글을 통해 많이 줄어들었으면 좋겠습니다^^